IP(Internet Protocol)
IP의 역할
- 지정한 IP 주소(IP address)에 데이터 전달
- 패킷 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
IP 패킷
- 현재 나의 IP(출발지IP, 목적지 IP, 기타 …) 등의 정보를 가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.
- 위와 같이 이루어진 정보를 토대로 패킷을 인터넷 망에 던진다.
- 인터넷은 규약이 미리 정해져있기 때문에 노드에서 타고타고 목적지 IP로 도달하게 된다.
- 목적지에서는 메시지를 받았다는 응답 메시지를 패킷을 통해서 만들어서 노드를 통해 다시 출발지 IP쪽으로 전달한다.
IP 프로토콜의 한계
- 내가 친구한테 던질 떄 출발지 → 목적지로 갈때와 목적지에서 다시 출발지로 올때 서로 다른곳으로 전달될 수 있다.
비연결성
- 내가 생성해서 만든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, 서비스 불능인 상태여도 패킷을 전송한다.
- 보내는 사람 입장에서 목적지의 서버 상태가 패킷을 받을수 있는 상태인지를 모른다.
비신뢰성(신뢰할 수 없다)
- 내가 중간에 던졌는데 중간에 패킷이 사라질(소실될) 수 있다.
- 패킷이 순서대로 안올 수 있다.
- 위 두가지 문제에 대해서 책임 지지않는다 → 한계가 있다.
위와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TCP와 UDP 이다.
'Dev > HTT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메서드 속성 (0) | 2021.05.23 |
---|---|
HTTP 메서드 종류 PUT, PATCH 그리고 DELETE (0) | 2021.05.23 |
HTTP 메서드 종류 GET과 POST (0) | 2021.05.23 |
HTTP 메서드 = HTTP API (0) | 2021.05.23 |
HTTP의 메시지 (0) | 2021.05.23 |